반응형

대학 재정 위기, 어떻게 해결할까? 제2차 고등교육재정 혁신 토론회 열려
교육부와 한국사학진흥재단은 3월 31일(월), 대구에서 ‘제2차 고등교육재정 혁신 토론회’를 열고 대학 재정의 현황과 위기 요인을 분석하며, 향후 재정 안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 배경: 왜 대학 재정이 위기인가?
- 지난 10년간 재정 감소로 인해 교육 혁신 및 발전 여력 감소
- 등록금·수강료 수입 비중이 50% 이상 → 학령인구 감소로 타격 심화
- 정부 및 지자체의 보조금 증가에도 고정비(인건비, 관리비 등) 부담 상승
- 물가 상승 등으로 학생지원, 교육환경 개선 예산 축소 우려
반응형
📌 토론회 주요 발표 및 제안
발표자 내용
문재성(한국사학진흥재단) | 사립대학 재정 분석, 고정비 증가로 교육투자 여력 축소 경고 |
김민희(대구대) | 재정 위기 주요 원인과 재정 부담 요인 분석 |
문보은(한국교육개발원) | 지역·설립유형별 재정 위기 차이 및 주요 요인 분석 |
고영호(건축공간연구원) | 대학 연계형 은퇴자 공동체(UBRCs) 모델 사례 소개 |
조지운(울산대) | 지자체 협력을 통한 협력기금 운영 사례 소개 |
📌 제안된 재정 안정화 실행과제
- 대학 기부금 활성화
- 대학 보유 재산을 활용한 수익 창출
- 산학협력단 활성화를 통한 수익 확대
📌 향후 계획
- 제3차 고등교육재정 혁신 토론회: 2025년 4월 11일(금), 중앙대학교
- 주제: 고등평생교육지원특별회계 도입 성과 분석
- 고등교육 재정지원 기본계획(2025~2029)
- 목표: OECD 평균 수준 공교육비 확보, 지자체 재정지원 비율 확대, 대학 수입 구조 다각화
- 3대 전략:
- 재정지원 확대 (고특회계, 지자체 중심, 자체 수입 지원)
- 전략적 배분 및 활용 (효율적 배분, 유연한 집행)
- 성과관리 혁신 (성과 환류, 지자체 성과관리, 대학 자체 역량 강화)
✅ 고등교육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선 안정적인 재정 기반 마련이 필수입니다. 교육부와 대학, 지자체, 민간이 함께 머리를 맞대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