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역동사(let, make, have) 완벽 정리! 영어 문장에 생동감을 더하자
sunny holidays
2025. 4. 9. 22:54
반응형
사역동사(let, make, have) 완벽 정리! 영어 문장에 생동감을 더하자
영어 문장을 쓰다 보면 누군가에게 어떤 행동을 시키거나 하게 만들고 싶을 때가 있죠.
이럴 때 유용하게 쓰이는 게 바로 사역동사입니다.
이름은 조금 생소할 수 있지만, 생각보다 자주 사용되고, 패턴도 단순해서 쉽게 익힐 수 있어요.
오늘은 대표적인 사역동사 let, make, have를 중심으로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드릴게요!
1. 사역동사란 무엇인가요?
사역동사(Causative Verbs)는 '누군가에게 어떤 일을 시키다'라는 의미를 전달할 때 사용되는 동사예요.
즉, 어떤 행동을 직접 하지 않고, 다른 사람이 하게 만드는 상황을 표현하는 데 쓰이죠.
🔍 예를 들어 볼게요:
- I made him clean the room.
(나는 그에게 방을 청소하게 했다.) - She let me borrow her book.
(그녀는 내가 그녀의 책을 빌리게 해줬다.)
이처럼 사역동사는 행동을 유도하거나 허락하거나 강제로 시키는 상황에서 아주 유용하답니다!
반응형
2. 자주 쓰이는 사역동사 3가지 – let, make, have
사역동사 중에서도 가장 자주 쓰이는 3가지를 소개할게요.
✅ let (허락하다)
- 의미: ~하게 허락하다
- 구조: let + 목적어 + 동사원형
👉 예문:
- My parents let me stay out late.
(부모님이 내가 늦게까지 외출하는 걸 허락하셨어.)
✅ make (강제로 시키다)
- 의미: ~하게 만들다, 강제로 시키다
- 구조: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
👉 예문:
- The teacher made us write an essay.
(선생님이 우리에게 에세이를 쓰게 하셨다.)
✅ have (부탁하거나 지시해서 시키다)
- 의미: ~하게 하다 (부탁하거나 업무적으로 시킬 때)
- 구조: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 예문:
- I had my assistant send the email.
(나는 내 조수에게 이메일을 보내게 했다.)
3. 사역동사 문장의 구조와 주의할 점
사역동사는 일반 동사와는 구조가 조금 달라요.
가장 중요한 특징은, 사역동사 다음에 오는 동사는 항상 '원형'이라는 것!
❗ 하지만 예외가 있어요:
사역동사의 수동 형태에서는 동사원형 대신 과거분사가 온답니다.
🔸 예문:
- I had the car washed.
(나는 차를 세차하게 했다. → 누군가가 세차해줬다는 의미) - She made the work done by noon.
(그녀는 그 일이 정오까지 끝나도록 시켰다.)
이처럼 사역동사 + 목적어 + 과거분사 구조도 함께 기억해두면 좋아요!
✏️ 정리해볼까요?
- 사역동사란? 남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만드는 동사
- 대표 사역동사: let(허락), make(강제), have(지시/부탁)
- 기본 구조: 사역동사 + 목적어 + 동사원형
- 수동형 구조: 사역동사 + 목적어 + 과거분사
사역동사는 회화나 작문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표현이니,
오늘 배운 내용 꼭 기억해두세요!
반응형